적조 피해 경감을 지원하고자 대기ㆍ해양의 기상변화에 따른 적조 발생 가능성 예측 모형을 개발하여 해구별로 가능성 정보를 제공합니다.
적조는 연안 50~60km 밖에서 본진이 형성되면, 그 본진이 대기와 해양기상, 해류, 영양염류, 경쟁관계인 규조류, 와편모조류 등의 번식량 등 복합적인 영향에 따라 적조생물이 연안으로 접근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적조피해 예방 관련 부처와 기관은 적조 발생이 의심되면 예찰·예보 강화, 방제장비 확충, 가두리 양식장 이동과 같이 피해 예방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적조 발생 가능성 예측' 융합서비스는 최근 8년간 적조가 주로 발생한 9개 해구의 적조 발생 가능성을 매일 전망하며, 조회일 기준 1~7일 후 예측값을 제공합니다.
적조 주요 발생 지역인 남해안 9개 해구에 대하여 적조를 예측한 결과와 해당 해구와 인접한 곳에서 관측된 기상정보를 제공합니다. 적조 전망 이력정보에서는 제공되는 기상관측자료는 해구 중심으로부터 35km 이내의 ASOS, 파고부이 자료와 50km 이내의 부이, 등표 자료이며, 예측된 적조 전망 결과와 함께 엑셀형태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해구 (번호) |
지점정보 | |||
---|---|---|---|---|
▼ 지상기상관측 |
▼ 파고부이 |
▼ 해상가상부이 |
▼ 동표기상관측 |
|
97 | 168 (여수), 295 (남해) |
22466 (금오도) | 961 (간여암) | |
98 | 295 (남해) | 22450 (두미도), 22498 (남해), 22499 (연화도) |
22188 (통영) | |
99 | 294 (거제) | 22455 (해금강), 22467 (한산도), 22484 (잠도), 22485 (소매물도), 22499 (연화도) |
22104 (거제도) | |
213 | 170 (완도) | 22456 (청산도), 22477 (노화도) |
959 (해수서) | |
214 | 262 (고흥) | 22478 (고흥) | 22103 (거문도) | |
81 | 138 (포항) | 22453 (구룡포), 22490 (월포) |
22106 (포항) | |
82 | 138 (포항) | 22453 (구룡포), 22490 (월포) |
22106 (포항) | |
87 | 152 (울산) | 22453 (구룡포) | 22189 (울산) | 963 (이덕서) |
92 | 159 (부산) | 22454 (장안), 22459 (북항), 22460 (남항), 22483 (간절곶) |
962 (광안) |
적조는 연안 50~60km 밖에서 본진이 형성되면, 그 본진이 대기와 해양기상, 해류, 영양염류, 경쟁관계인 규조류, 와편모조류 등의 번식량 등 복합적인 영향에 따라 적조생물이 연안으로 접근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적조피해 예방 관련 부처와 기관은 적조 발생이 의심되면 예찰·예보 강화, 방제장비 확충, 가두리 양식장 이동과 같이 피해 예방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적조 발생 가능성 예측' 융합서비스는 최근 8년간 적조가 주로 발생한 9개 해구의 적조 발생 가능성을 매일 전망하며, 조회일 기준 1~7일 후 예측값을 제공합니다.
COPYRIGHTⓒ KMA . ALL RIGHTS RESERVED
- 이용자가 제공한 자신의 인적 사항에 관한 정보가 허위(이름,이메일이 실제와 다른 경우 등)인 것으로 판명되거나, 허위라고 의심할만한 합리적인 사유가 발생한 경우
- 이용자가 회원가입신청 시 허위의 내용을 입력하였을 경우
- 이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여 불법적인 게시물(허위사실 유포, 명예훼손적 표현, 욕설 내지 비방, 상업광고, 음란 또는 저속한 글이나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을
올리는 등과 같이 서비스의 존립목적에 반하여 사회의 안녕 질서 또는 미풍양속을 저해하는 행위를 하였을 경우 - 이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여 부당한 민원을 제기하였을 경우
- 기타 기상청이 서비스의 이용제한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이용자가 특정 후보 또는 정당에 대한 지지의사를 밝히는 게시물을 올리는 등의 행위를 하여 서비스 내에서 의견대립이나 논쟁이 발생하는 경우 등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