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열기
찾기 버튼

사용자별
바로가기

보건 · 환경

적조 피해 경감을 지원하고자 대기ㆍ해양의 기상변화에 따른 적조 발생 가능성 예측 모형을 개발하여 해구별로 가능성 정보를 제공합니다.

적조 발생가능성 전망

적조가 발생하는 주요 해구별 적조 발생 가능성 전망 정보
최근 8년간 적조가 주로 발생한 남해안 9개 해구의 적조 발생 가능성을 매일 전망하며, 4단계 구간(높음/보통/낮음/없음)으로 조회일 기준 7일 후까지 예측값을 제공합니다. 본 서비스는 유관기관과 어업인에게 적조 피해 대책 수립을 위한 의사결정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적조 피해 경감을 지원합니다.
닫기

적조 발생가능성 전망

적조 발생가능성 전망 정보 개요

적조 발생가능성 전망 정보 개요에 관한 이미지
일조시간, 강수량, 염도, 수온, 풍속, 해면기압: 적조 발생에 미치는 기상 및 해양 기상 요인 => 주요 적조 발생 해구별 적조 발생 가능성 예측: 2008년 12월~2016년 11월/HYCOM GLBa0.08, 해양기상 관측 정보, 종관기상 관측 정보/적조발생이력 765건 => 대기, 해양기상 변화에 따른 적조 발생 여부 관계분석, 생물적 특성, 지형조건 등 적합성을 고려한 적조 전망 지역 선정,적조 생물의 발생 기간 및 특성을 고려하여 최대 21일전 대기 및 해양기상 고려/ 적조 발생 가능성 예측 모형 개발 => 해구별 일일 적조 발생 가능성 전망/ 적조발생 주요 기상 요인 중심 기상정보 제공: 남해서부, 남해동부, 동해남부 일부 지역별 적조 관련 주요 기상정보 제공 => 남해서부, 남해동부, 동해남부 일일 바다예보, 해상 10일 예보, 해구별 수온, 염도, 유속 HYCOM 예보

적조 발생가능성 전망 서비스 제공 범위

적조는 연안 50~60km 밖에서 본진이 형성되면, 그 본진이 대기와 해양기상, 해류, 영양염류, 경쟁관계인 규조류, 와편모조류 등의 번식량 등 복합적인 영향에 따라 적조생물이 연안으로 접근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적조피해 예방 관련 부처와 기관은 적조 발생이 의심되면 예찰·예보 강화, 방제장비 확충, 가두리 양식장 이동과 같이 피해 예방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적조 발생 가능성 예측' 융합서비스는 최근 8년간 적조가 주로 발생한 9개 해구의 적조 발생 가능성을 매일 전망하며, 조회일 기준 1~7일 후 예측값을 제공합니다.

적조 발생가능성 전망 서비스 제공 범위에 관한 이미지
매일/전날 데이터를 기준으로 1주일 후 적조 발생 예측/오늘(T), T+1, T+2, T+3, T+4, T+5, T+6/ 최대 20일 전 기상데이터/HYCOM, 해양기상 관측 정보, 종관기상 관측 정보 => 해구별 적조 발생 가능성을 4단계 구간으로 예측

적조 발생가능성 전망 서비스 화면예시

적조 전망 현황

적조 전망 현황 예시 화면

적조 전망 대상 지역 바다 날씨

적조 전망 대상 지역 바다 날씨 예시 화면

적조 전망 이력정보

적조 발생가능성 전망 이력 정보
주요 적조 발생 해구별 적조 발생 가능성을 4단계 구간으로 예측했던 과거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과거 이력 조회를 통해 적조 발생 동향을 확인하고, 예측 모형의 정확도를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습니다.
닫기

적조 전망 이력정보

적조 전망 이력정보 개요

적조 주요 발생 지역인 남해안 9개 해구에 대하여 적조를 예측한 결과와 해당 해구와 인접한 곳에서 관측된 기상정보를 제공합니다. 적조 전망 이력정보에서는 제공되는 기상관측자료는 해구 중심으로부터 35km 이내의 ASOS, 파고부이 자료와 50km 이내의 부이, 등표 자료이며, 예측된 적조 전망 결과와 함께 엑셀형태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도형 지점정보

지도형 지점정보

지점정보

지점정보
해구
(번호)
지점정보

지상기상관측

파고부이

해상가상부이

동표기상관측
97 168 (여수),
295 (남해)
22466 (금오도)   961 (간여암)
98 295 (남해) 22450 (두미도),
22498 (남해),
22499 (연화도)
22188 (통영)  
99 294 (거제) 22455 (해금강),
22467 (한산도),
22484 (잠도),
22485 (소매물도),
22499 (연화도)
22104 (거제도)  
213 170 (완도) 22456 (청산도),
22477 (노화도)
  959 (해수서)
214 262 (고흥) 22478 (고흥) 22103 (거문도)  
81 138 (포항) 22453 (구룡포),
22490 (월포)
22106 (포항)  
82 138 (포항) 22453 (구룡포),
22490 (월포)
22106 (포항)  
87 152 (울산) 22453 (구룡포) 22189 (울산) 963 (이덕서)
92 159 (부산) 22454 (장안),
22459 (북항),
22460 (남항),
22483 (간절곶)
  962 (광안)

적조 발생가능성 전망 서비스 제공 범위

적조는 연안 50~60km 밖에서 본진이 형성되면, 그 본진이 대기와 해양기상, 해류, 영양염류, 경쟁관계인 규조류, 와편모조류 등의 번식량 등 복합적인 영향에 따라 적조생물이 연안으로 접근 여부가 결정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적조피해 예방 관련 부처와 기관은 적조 발생이 의심되면 예찰·예보 강화, 방제장비 확충, 가두리 양식장 이동과 같이 피해 예방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적조 발생 가능성 예측' 융합서비스는 최근 8년간 적조가 주로 발생한 9개 해구의 적조 발생 가능성을 매일 전망하며, 조회일 기준 1~7일 후 예측값을 제공합니다.

적조 발생가능성 전망 서비스 제공 범위에 관한 이미지
매일/전날 데이터를 기준으로 1주일 후 적조 발생 예측/오늘(T), T+1, T+2, T+3, T+4, T+5, T+6/ 최대 20일 전 기상데이터/HYCOM, 해양기상 관측 정보, 종관기상 관측 정보 => 해구별 적조 발생 가능성을 4단계 구간으로 예측

적조 발생가능성 전망 서비스 화면예시

적조 전망 이력정보

적조 전망 이력정보 예시 화면
닫기

날씨마루 개인정보 처리방침

위로가기
닫기

도움말

닫기

불편 및 건의사항 접수

닫기

커뮤니티 사용자의 의무와 준수사항

커뮤니티 사용시 아래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일부 또는 전부 제한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이용을 일부 또는 전부 제한하는 것에는 이용자의 회원자격 박탈, 서비스 접속 차단, 이용자가 올린 게시물의 삭제 등을 포함합니다.

- 이용자가 제공한 자신의 인적 사항에 관한 정보가 허위(이름,이메일이 실제와 다른 경우 등)인 것으로 판명되거나, 허위라고 의심할만한 합리적인 사유가 발생한 경우
- 이용자가 회원가입신청 시 허위의 내용을 입력하였을 경우
- 이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여 불법적인 게시물(허위사실 유포, 명예훼손적 표현, 욕설 내지 비방, 상업광고, 음란 또는 저속한 글이나 사진 또는 동영상 등)을 올리는 등과 같이 서비스의 존립목적에 반하여 사회의 안녕 질서 또는 미풍양속을 저해하는 행위를 하였을 경우 - 이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하여 부당한 민원을 제기하였을 경우
- 기타 기상청이 서비스의 이용제한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이용자가 특정 후보 또는 정당에 대한 지지의사를 밝히는 게시물을 올리는 등의 행위를 하여 서비스 내에서 의견대립이나 논쟁이 발생하는 경우 등 포함)